티센 보르네미사 미술관 완전 정복 5편이자 완결입니다.

관람 중이신 여러분도 힘내세요!!
저작권 문제로 그림의 사진을 직접 게시물에 포함하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저작권 문제로 그림의 사진을 직접 게시물에 포함하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작품명을 클릭하시면 미술관 공식 홈페이지의 작품 소개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시대적인 배경으로는 1839년 카메라의 발명으로 사실적인 묘사와 순간포착의 능력은 그림이 아닌 사진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었으며 작가들에게 그림은 무엇을 그려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수많은 변화들이 일어나고 새로운 기법들과 표현 방식의 시도, 주제의 변화 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Sala 34
작품명 - 워털루 다리 El puente de Waterloo
작가 - 안드레 드랭 André Derain
연대 - 1906년
프랑스 작가인 안드레 드랭은 화가이자 조각가였습니다. 매우 혁신적이고 생생하며 부자연스러운 색상을 사용하여 비평가들에게 '야수파'라는 조롱 섞인 말을 듣기도 했습니다. 이 이름은 1905년 함께 했던 첫 번째 전시의 비평에서 나왔으며 그들은 고전적 아름다움이 결핍된 예술의 유의어인 야생의 야수처럼 간주되었습니다. 인상주의파들이 드랭보다 20년 전쯤 발전시킨 이런 개념은 야수파들이 색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방식의 효과를 주며 표현력을 더 확장시켜 갔습니다. 야수파들은 반 고흐의 감정적인 색채를 추앙했습니다. 그와 함께 헨리 마티스, 모리스 드 블라맹크는 야수를 뜻하는 프랑스어 Fauve인 야수파 활동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드랭은 대담한 색상과 구성으로 템즈강과 타워브리지 등 여러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 런던 그림은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화가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강과 다리의 그림은 사실적이지 않고 분위기만 표현하고 있습니다. 런던의 추운 기후는 파란색, 보라색, 초록색으로 주로 표현했고 노란색과 분홍색으로 도시를 비추는 보이지 않는 태양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리는 파란빛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실제로 파란색이 아닐지라도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Sala 34
작품명 - 자화상 Autorretrato
작가 - 에곤 실레 Egon Schiele (에곤 쉴레)
연대 - 1910년
대표작은 아닐지라도 티센 미술관에도 실레의 작품이 있습니다.
실레는 여러모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유년기를 지났습니다. 실레의 아버지는 그가 15살 때 결혼 전부터 앓았던 매독으로 정신착란 증세를 보이다 죽었고 그의 어머니는 남편에게 별로 관심이 없었고 사이도 좋지 않았다 합니다. 실레는 아버지의 죽음에도 슬퍼하지 않고 무덤덤한 태도를 보이는 어머니에게 충격을 받았으며 이때부터 아버지를 우상화하고, 어머니를 혐오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후 평생 어머니와 불화한 채 살았습니다.
이런 어머니와의 소원한 관계가 여동생 게르트루드에 대한 집착으로 남았다고 하며 실제로 여동생을 누드모델로 많은 작품을 남겼고, 근친상간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15세가 되던 시기에 키스로 유명한 구스타프 클림트를 만나 후원자이사 사제관계로 지내게 되며 실제로 실레가 클림트를 매우 좋아했다고 합니다.
1912년 미성년자를 모델로 누드화를 그리고 아이들도 볼 수 있는 전시회에 선정적인 그림을 전시했다는 혐의로 짧은 징역을 살기도 했습니다. 초점을 잃은 눈빛과 앙상한 몸, 균형을 잃은 구도 등은 불안정한 감정을 주는 것은 사실입니다.
실레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을 위해 유튜브 영상 하나를 소개합니다.
Sala 35
작품명 - 의자 앞의 프란지 Fränzi ante una silla tallada
작가 -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 Ernst Ludwig Kirchner
연대 - 1910년
독일 출신의 키르히너는 대표적인 표현주의 작가 중 하나입니다. 표현주의는 20세기 초에 일어난 미술의 한 양식으로 인상주의, 상징주의, 야수파와 마찬가지로 자연주의 경향에 반대하는 운동이었으며 영혼의 표현을 나타내는데 주력한 표현주의는 사물의 외면을 묘사하는 인상주의와는 대립되는 모습을 보이며 다시 말해 표현주의는 인상주의의 특징인 빛과 색채의 유희를 벗어나려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프란지라는 12세 소녀를 그렸는데 이 여자아이는 표현주의 화가들 단체와 자주 교류를 가졌고 그 그룹의 예술가들의 많은 작품을 위해 모델이 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1910년 표현주의 화가들의 첫 번째 전시 카탈로그 표지로 사용되었고 그래서 이 얼굴은 표현주의 운동의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프란지는 등에 여성의 나체상이 조각된 의자에 앉아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젊은 여성은 강렬한 녹색의 두껍고 부자연스러운 붓놀림으로 정의된 얼굴로 도전적으로 우리를 바라보고 있으며, 이는 그녀를 감싸고 있는 여성 실루엣의 살결 톤과 대조됩니다. 우리의 관심은 즉시 소녀의 얼굴과 그녀가 우리의 눈을 응시하는 방식에 쏠립니다. 이것은 신체의 가장 정교한 부분으로, 그 특징은 황록색, 약간의 분홍색 또는 파란색 터치, 그림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꺼운 붓놀림으로 부자연스러운 방식으로 가려져 있습니다. 특히 살짝 벌어진 볼륨감 있는 입술이 강렬한 레드 컬러로 도색돼 있어 화보 전체가 그녀가 일깨우는 섹슈얼리티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Sala 39
작품명 - 무제 Sin título
작가 - 바실리 칸딘스키 Wassily Kandinsky
연대 - 1922년

Sala 39
작품명 - 얼룩 세 개로 된 그림 Pintura con tres manchas, n.º 196
작가 - 바실리 칸딘스키 Wassily Kandinsky
연대 - 1914년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칸딘스키(Василий Васильевич Кандинский)는 러시아의 화가, 판화제작자, 예술이론가입니다. 피카소, 마티스와 비교되며 20세기의 중요한 예술가 중 하나로 평가되는 그는 초기 추상미술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며 일반적으로 그는 최초의 현대추상작품을 그린 작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칸딘스키는 음악은 그림이 될 수 있고, 그림도 음악이 될 수 있다고 믿었고 그의 그림들은 대상에 연연하지 않는 추상화로 바뀌게 됩니다.
Sala 40
작품명 - 회색집 La casa gris
작가 -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연대 - 1917년
1914년 샤갈은 잠시 그의 고향인 비테프스크에 머물렀다가 파리에 돌아갈 생각이었으나 세계 1차 대전의 발발과 그 후 볼셰비키 혁명으로 1922년까지 그의 나라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 시기에 결혼을 하고 딸 이다를 낳았습니다.
회색집 샤갈이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고향인 비테프스크를 그린 일련의 그림 중 일부입니다. 샤갈은 파리에서 여러 해 동안 살면서 얻은 입체파 학습을 다른 평면과 원근법의 변화에서 자화상이나 구불구불한 하늘의 표현일 수 있는 왼쪽의 작은 입상과 같은 환상적인 요소와 결합합니다
샤갈이 자서전에서 묘사한 것처럼 "슬프고 즐거운" 지방 비테프스크의 삶의 평화로운 마을은 그의 그림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는 모스크바로 이사하기 전에 그 작은 유대인 마을에서 보낸 6년 동안 그곳의 사람들과 풍경에 대한 일련의 그림(그가 "문서"라고 부른 것)을 그렸습니다. 그중에는 도시에 대한 일련의 견해가 있는데, 그의 독특한 서정성은 상충되는 감정, 때로는 목가적이며 때로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거나 종말론적이며 최근 결혼 후의 행복이나 그로 인한 감정적 긴장에 반응합니다. 반면에 화가가 초기에 매우 적극적인 역할을 한 혁명. 샤갈은 우리에게 그의 동포들의 교회와 수수한 집을 보여주고 비체프스크를 그의 사랑하는 아내 벨라가 날아온 목가적인 도시로 만듭니다.
도시는 흙담 바로 다음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크기는 전통적인 원근법에 의해서 그려진 것은 아닙니다. 이 그림은 작품의 고정되지 않은 땅 위에 모든 요소들이 놓여있는 것처럼 강조된 불안정성이 돋보입니다. 왼쪽 하단에 한 인물이 놀라고 두려운 표정을 지으며 우리를 쳐다보고 있습니다. 재킷의 하단에는 샤갈의 이름이 적혀있으며 팔에 적혀있는 글씨는 히브리어로 마르크라고 쓰여있습니다. 그리고 담장에는 러시아어로 바보라는 뜻인 Durak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오른쪽의 다른 두 사람이 작게 그려져 있는데 이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비체프스크는 마치 비어있는 도시처럼 보입니다. 어쩌면 작품이 그려진 1917년 혁명의 발발로 인해 일어난 불안정성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Sala 41
작품명 - 만돌린과 여인 Mujer con mandolina
작가 - 조르주 브라크 Georges Braque
연대 - 1910년
1910년대 말 조르주 브라크와 파블로 피카소의 공동 노력으로 탄생한 큐비즘은 서양 미술사에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세잔을 출발점으로 삼아 브라크와 피카소는 부피와 공간 사이의 새로운 관계, 사물이나 인물의 실제 또는 인식 가능한 부분과 주변 추상 공간 사이의 새로운 일치를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시인 Apollinaire의 말을 빌리자면 "시각의 현실이 아니라 지식의 현실에서 추출한 요소로 새로운 구성을 그리려는 것"을 의도했습니다. 거울과 자연의 재현으로서의 예술을 끝냄으로써 르네상스 이후 고스란히 통용되던 모든 예술적 규범을 종식시키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창작의 자유의 새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 작품의 공간은 작은 면들로 균일하게 나뉘어 있습니다. 배경과 그림은 서로 연결된 작은 평면으로 구성된 연속적인 공간 표면에서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조합되어 있습니다. 만돌린이나 만돌린을 쥐고 있는 손과 같이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 있는 반면, 머리와 어깨와 같은 다른 요소는 배경의 추상 공간에 너무 통합되어 거의 식별할 수 없습니다. 배경은 여인을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기도 하면서 혼란을 주는 그물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장면의 이차원성을 강조하기 위해 배경과 인물은 같은 면에 섞여 있습니다.
Sala 43
작품명 - 뉴욕시티 3 (미완성) Nueva York, 3 (inacabado)
작가 - 피에트 몬드리안 Piet Mondrian
연대 - 1941
1938년 나치의 진군을 고려하고 뮌헨 조약이 체결된 후 몬드리안은 거의 20년 동안 살았던 파리를 떠나 그의 친구 벤과 런던으로 이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년 후, 영국 수도 폭격과 독일군이 파리에 입성한 후, 그는 젊은 미국 화가 해리 홀츠만의 초청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하고 뉴욕에 정착하여 말년을 보냈습니다. 유럽 예술가들의 미국으로의 대이동은 당시 만연한 현상이었고, 물리적, 지적 환경의 변화로 인한 예술의 변모 역시 그들 모두에게 공통적인 변화였습니다.
맨해튼과 미국 문화가 그에게 미친 영향의 결과로 몇 년 전에 태어난 재즈 음악에 대한 그의 관심이 더해지면서 몬드리안의 그림은 이전의 경직성을 잃고 더 큰 자유와 더 생생한 리듬을 얻었습니다. 맨 처음부터 그는 "자연에서 가장 먼 것"인 대도시의 사각형 구성과 높은 건물뿐만 아니라 최신 재즈 발견에 의해 대도시의 역동성에 강한 매력을 느꼈습니다.
몬드리안의 미국 작품은 도시가 예술가에게 미치는 영향의 결과로 연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법의 도입이라는 관점에서도 연구되었습니다. 이전 작업에서 색과 면을 구분했던 두꺼운 검은 선은 평면성의 원리를 깨고 작업을 쉽게 해주는 새로운 재료인 컬러 접착테이프로 대체되었습니다. 테이프의 가역성 덕분에 흰색 캔버스에서 테이프 배치를 수정할 수 있었고, 구성에 가장 만족스럽고 균형 잡힌 위치에 테이프를 배치할 수 있었습니다. 표면, 형태, 색상 사이의 조화를 발견하려는 그의 초기 노력은 새롭고 보다 역동적인 언어로 결합되었습니다. 마지막 단계는 리본을 색색의 선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지만 이 작업은 시리즈의 작업 중 하나인 뉴욕시에서만 수행되었습니다. 나머지는 미완성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진행 중인 작업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크리스토퍼 그린이 적절하게 정의한 "유예된 우유부단함"을 형성합니다.
마틴 제임스교수의 증언에 따르면 이 그림은 섬세한 상태로 인해 1977년 빌 스티브스와 몬드리안의 재산을 관리했던 화가 친구인 해리 홀츠만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그들은 느슨한 리본을 다시 붙이고 교체했습니다. 색상이나 원래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Sala 43
작품명 - 색의 구성
작가 - 피에트 몬드리안 Piet Mondrian
연대 - 1931년
Sala 44
작품명 - 메르츠빌츠 케이크다윈 Merzbild Kijkduin
작가 - 쿠르트 슈비터스 Kurt Schwitters
연대 - 1923년
쿠르트 슈비터스는 다다이즘의 가장 뛰어난 대표 인물로 구성주의의 새로운 표현 방법에 관심을 두던 때 이 작품을 완성했습니다.
이 작품은 작가가 Kijkduin (케이크다윈)이라는 네덜란드 해변에서 발견한 물체들로 제작한 작품입니다. 이것들은 해안까지 밀려가고 깨지고 닳아 자연이 만든 무질서한 마찰과 부식에 의해 생성된 재료들입니다. 또한 문명사회의 잔류물이기도 합니다.
Sala 44
작가 -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í
연대 - 1944년
작품의 아래쪽에 잠들어있는 여인은 작가의 아내이자 뮤즈인 갈라입니다. 평평한 바위 위에 공중에 떠 있는 알몸으로 잠든 아내 옆에 달리는 매달린 두 개의 물방울과 다산과 부활의 기독교 상징인 석류를 놓습니다. 전통적으로 성모를 상징하는 곤충인 벌이 그 위를 날아다닙니다. 꿀벌의 윙윙 거리는 소리는 Gala의 마음에서 왼쪽의 석류가 폭발하여 내부에서 거대한 물고기가 던져지고 두 마리의 위협적인 호랑이와 총검이 나오는 꿈으로 변환됩니다. 이것은 1초 후에 갈라의 팔을 찌르는 것입니다. 그 위에는 당시의 다른 구성에 등장하는 긴 플라밍고 다리를 가진 코끼리가 로마의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광장에 있는 베르니니의 코끼리처럼 교황의 권력을 상징하는 오벨리스크를 등에 업고 있습니다. 당시 그의 주제는 감상적인 종교성을 지향했고 달리는 꿈의 세계에 자유를 부여한 정통 초현실주의 단계를 떠났지만, 이 구성의 긴 제목은 엄격한 정신 분석적 성격을 부여하려는 그의 의도를 보여줍니다.
Sala 45
작품명 - 호텔 객실 Habitación de hotel
작가 - 에드워드 호퍼 Edward Hopper
연대 - 1931년
호퍼는 주로 도시의 일상적인 모습을 그렸으며 소외감이나 고독감을 표현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산업화와 제1차 세계대전, 경제대공황을 겪은 미국의 모습을 잘 나타냈고, 그 때문에 미국의 리얼리즘 화가로 불리고 있습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팝아트, 신사실주의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67년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 작품 작가가 여행에 대한 매력에 이끌려 그렸던 여러 호텔을 배경으로 한 긴 유화 시리즈 중 첫 번째 작품입니다.
익명의 호텔 방에서 한 소녀가 침대 가장자리에 앉아 있습니다. 늦은 밤 피곤해 보이는 모습입니다. 그녀는 모자와 드레스, 신발을 모두 벗고 짐을 풀 힘도 없이 다음 날 탈 기차 시간표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현대 도시의 외로움은 작가의 작업의 중심 주제 중 하나입니다. 호텔 방에서 전경의 벽과 오른쪽의 서랍장은 공간을 압축하고 침대의 큰 대각선은 우리의 시선을 배경으로 향하게 합니다.
Sala 45
작품명 - 어릿광대와 거울 Arlequín con espejo
작가 -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
연대 - 1923년
티센 미술관이 소장 중인 두 개의 피카소의 작품 중 하나입니다. 다른 하나는 옆에 있는 투우입니다.
어릿광대와 거울은 그의 회화에 서커스와 희극의 주인공, 그가 항상 흥미를 느꼈던 인물들 등의 주제가 다시 등장하던 시기에 그려졌습니다. 이 어릿광대에는 피에로의 우울한 얼굴과 곡예사 복장, 그리고 특별한 의미를 가지게 하는 어릿광대 인물의 모자들이 섞여 있습니다. 피카소는 여러 작품에서 그의 개인적 불안을 내포하는 사람으로서 어릿광대처럼 자화상을 그렸습니다. 이 그림을 그리던 당시 피카소의 나이는 42세였습니다. 어떤 작가들은 이 작품을 당시 사라 머피라는 미국 여성과 살았던 피카소의 좌절된 사랑과 관련해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Sala 47
작품명 - 무제 (보라색 위에 초록색) Sin título (Verde sobre morado)
작가 - 마크 로스코 Mark Rothko
연대 - 1961년
마크 로스코는 방해물을 없애고 순수한 색이 감정을 표현하기에 가장 최적의 방법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넓은 부분을 색으로 채웠습니다. 작가가 처음 그림을 그리기 시작할 땐 구상 위주의 그림이었으나 점점 단순화되었고 그 작품의 요소들 중 색 하나만 남을 때까지 방해물을 없애 갔습니다. 그는 색깔이 직접적으로 영혼에 작용한다고 생각했고 관객들에게 깊고 강렬한 정신적 감정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단순히 쓱 보고 지나치면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다 보면 느껴지는 여러 감정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앉아서 보라고 미술관에서는 친절하게 소파까지 마련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애플사의 스티브 잡스는 이 그림에 매료되어 아이폰 디자인에 이용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Sala 55
작품명 - 욕조 속의 여인 Mujer en el baño
작가 - 로이 리히텐슈타인 Roy Lichtenstein
연대 - 1963년
리히텐슈타인은 미국의 팝 아티스트입니다. 1960년대에는 앤디 워홀, 재스퍼 존스, 제임스 로젠퀴스트 등의 예술가들 사이에서 그는 새로운 미술 운동의 주도적인 인물이 되었고 그의 작품은 패러디를 통해 팝아트의 전제를 규정했습니다. 만화에서 영감을 받은 리히텐슈타인은 작품들이 종종 장난스러운 방식으로 모방되는 동안에 문서화된 정확한 구도를 만들어냈습니다. 그의 작품은 인기 있는 광고와 만화책 스타일에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팝아트가 '미국 그림 (American painting)'이 아니라 '산업 그림 (industrial painting)'이라고 묘사했습니다.
목욕하고 있는 여인은 회화에서 여신이나 요정을 다룰 때 많이 등장하는 전통적인 테마입니다. 그림을 가까이에서 살펴보면 인쇄된 점으로 되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고 인물의 단순하고 그래픽적인 스타일이 만화를 연상하게 합니다. 또한 이 여인의 모습은 40년대 이후 광고에서 만들어진 여성적인 아름다움의 조건과 매우 유사하며 메릴린 먼로가 떠오르게 합니다.
부족한 설명이 오히려 관람에 방해가 되지는 않을지 죄송한 마음도 드네요.
즐거운 관람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티센 미술관 안내를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Muchas gracias y nos vemos pronto!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이드북 - 성가족 성당 1편 입장하기 전부터.. (2) | 2024.11.20 |
---|---|
가이드북 - 똘레도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12) | 2024.10.14 |
가이드북 - 티센 보르네미사 미술관 완전 정복 4편 (4) | 2023.04.10 |
가이드북 - 티센 보르네미사 미술관 완전 정복 3편 (1) | 2023.04.06 |
가이드북 - 티센 보르네미사 미술관 완전 정복 2편 (2) | 2023.03.26 |
댓글